순천하나병원 김민광원장, KBS 라디오 상담실 출연 <아킬레스건 파열> 1편 : 원인과 증상 > 건강칼럼

본문 바로가기


SUNCHEON HANA

커뮤니티

건강칼럼

SUNCHEON HANA

순천하나병원 김민광원장, KBS 라디오 상담실 출연 <아킬레스건 파열> 1편 : 원인과 증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순천하나병원
댓글 0건 조회 41회 작성일 25-09-04 17:27

본문


안녕하세요~


보건복지부지정 관절전문병원 

순천하나병원입니다.  :-)


지난 8월 28일 목요일,

저희병원 수족부센터 김민광 원장께서

KBS 라디오상담실에 출연하셨다는

소식 전해드립니다~


이번 라디오 상담실 주제는

<아킬레스건 파열> 입니다.



958603e2ed4896d35eeffe00c0426a67_1756974102_8755.jpg


958603e2ed4896d35eeffe00c0426a67_1756974103_0203.jpg
 



아킬레스 건이란?


종아리 뒤쪽의 두꺼운 힘줄로,

우리가 달리고, 계단을 오르거나 점프 할 때 

강한 추진력을 만드는 핵심 엔진과도 같습니다.


아킬레스건 파열이란?


부분적으로 찢어지거나, 완전히 끊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대부분 파열이라고 하면 완전 파열을 의미합니다.


 아킬레스 건이 끊어지는 원인


1. 점프 후 착지, 급격한 방향 전환


농구, 축구, 테니스, 족구처럼 점프 후

착지하거나 방향 전환을 급하게 하는 동작에서

강한 힘이 아킬레스 건에 걸리면서 끊어질 수 있습니다.


2. 갑작스러운 무리한 운동


평소에 운동을 안 하다가 갑자기 무리한

운동을 할 경우 


3. 일상 속 갑작스러운 동작


예를 들면 계단을 내려가다 미끄러졌을 때, 

갑자기 뛸 때에도 파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958603e2ed4896d35eeffe00c0426a67_1756974166_3156.jpg


958603e2ed4896d35eeffe00c0426a67_1756974166_3816.jpg
 




연령대나 운동습관, 질환 유무에 따라 

파열 위험이 달라지나요?


가장 흔한 연령은 30~50대로,

특히 40~50대 남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이 시기에는 근육량은 줄고, 힘줄의 탄력도

떨어지기 시작하지만 여전히 젋을 때처럼

운동을 하려는 경향이 있어 부상 위험이 높습니다.


운동 습관면에서는 주기적으로 운동하는 사람보다

운동을 갑자기 하는 사람이 더 위험합니다.

또한 점프, 방향전환, 순간 가속이 많은 운동

(농구, 축구, 테니스, 배드민턴, 족구 등)을 

자주 하는 사람이 특히 위험합니다.



​그리고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힘줄의 유연성과 회복력이 떨어져 있어 

파열 위험이 높고, 스테로이드 주사나 

플루오로퀴놀론 계열 항생제(ex:시플로플록사신)를 

과거에 투약한 적 있는 분들은 아킬레스건이 

약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는 평발, 종아리 근육 단축, 

너무 딱딱하거나 불안정한 신발 착용, 

갑자기 체중이 증가한 경우도 부담을 주게 됩니다.



파열이 되면 어떤 증상이 있나요?


1. 파열 순간 '뚝' 하는 소리?


"뭔가 뒤에서 제 발뒤꿈치를 걷어찬 줄 알았어요"

"뚝! 하는 소리가 분명히 났어요"

이처럼 '뚝' 하는 찢어지는 듯한 소리나 감각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2. 날카로운 통증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 줄어들 수 있어 

경미한 부상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발끝으로 서기 불가능


가장 중요한 기능적 증상으로 계단을 올라가거나

발끝으로 까치발 서기가 되지 않고

땅을 디디면 다리에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들게 됩니다.


4. 걸음걸이 이상


발을 디딜때 절뚝거리거나, 발목이 헛도는 느낌이 나며

평소와는 확연히 다른 걸음걸이가 나타납니다.


<부분파열>과 <완전파열>의 차이


부분 파열은 기능이 일부 남아있는 상태

완전 파열은 기능이 거의 상실된 상태입니다.

증상만으로 확실히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어 

초음파, MRI같은 정밀 검사로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단순 발목 염좌나 근육통으로 착각하는 경우


통증이 심하지 않아 단순히 '쥐가 났나보다','접질렀나?'

하고 방치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발뒤꿈치에 힘이 전혀 들어가지 않거나,

발끝으로 서질 못하거나,

종아리 근육을 눌러도 발이 움직이지 않으면

아킬레스건 파열을 강하게 의심해야 합니다.


오늘은 아킬레스건의 역할과 파열의 원인

증상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진단검사, 치료방법, 

라디오상담실 청취자의 실제 사례와 

재활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대해 주세요~!!!!




958603e2ed4896d35eeffe00c0426a67_1756974290_6239.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그누보드5

전라남도 순천시 팔마로 215(덕암동) | 대표전화 : 061)740-8800 | 팩스 : 061)740-8804 | 사업자번호 416-10-57390 / 대표자 : 김창모

COPYRIGHT © 순천하나병원. ALL RIGHTS RESERVED.